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청년도약계좌 총정리(2025) - 신청기간·자격·우대금리·세금혜택

by 애봉이(비숑) 2025. 8. 12.

5년 만기 자산형성형 상품인 청년도약계좌를 한 번에 이해하고 실행할 수 있게 구성했습니다. 월 납입한도, 자격·소득 기준, 우대금리·정부지원금, 비과세 구조, 취급 은행 카드형 표, 납입 지연·중도해지 유의사항, 청년적금과의 비교까지  총정리했습니다.

 

 

1. 핵심요약

  • 신청기간: 매월 공지되는 접수 기간(대개 월 초~중순) 앱 비대면 신청 → 약 2주 심사 → 익월 초 개설·자동이체 시작
  • 월 납입한도·기간: 최대 70만 원, 5년(60개월). 우대금리 + 소득구간별 정부지원금(월 최대 약 2.4만 원 가정)
  • 세금: 만기 유지 시 이자소득 비과세. 미납·중도해지 시 혜택 축소/환수 가능(유지 조건 필독)

 

2. 청년도약계좌란?

만 19~34세(병역 이행 최대 6년 추가 인정) 청년의 5년 장기 저축을 지원하는 정책형 계좌입니다. 청년도약계좌는 납입액에 우대금리·정부지원금이 더해져 실효수익률을 높이고, 만기 유지 시 비과세로 과세 대비 유리한 결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.

 

  • 신청기간: 매월 지정 기간(은행·정부 공지 확인) — 마감 임박 시 접속 지연이 잦아 오픈 24~48시간 내 접수 권장
  • 흐름: 앱 신청 → (약 2주) 자격·소득·가구소득 연계 심사 → 익월 초 자동이체 시작
  • 목적: 주거·결혼·교육·창업 등 자산 형성, 금융 습관 구축

 

3. 월 납입한도 및 저축 기간(우대금리·정부지원금)

  • 기간/한도: 5년(60개월), 월 최대 70만 원
  • 금리 구조: 기본금리 + 우대금리(급여이체/카드·생활요금·자동이체 등)
  • 정부지원금: 개인소득 구간별 차등(월 최대 약 2.4만 원 가정). 만기 유지 시 체감 수익 상승

급여일 + 3~5영업일에 자동이체를 설정하면 미납률이 낮아집니다. 우대항목은 반기마다 점검해 누락을 방지

 

4. 가입 조건 및 소득 조건

구분 기준(요약) 확인 방법 메모
나이 만 19~34세(병역 최대 +6년) 신분증/주민등록 가입일 기준
개인소득 총급여 7,500만 원 이하(종소 6,300만 원 이하) 국세청 연계 정부지원금 구간 차등
가구소득 중위소득 250% 이하 행정정보 연계 세대 구성 반영
거주/국적 내국인·국내 거주 기본 요건 상시 확인
중복 제한 유사 정책·특례 병행 제한 가능 상품설명서·FAQ 접수 전 확인

 

5. 세금 혜택과 비과세 구조

  • 비과세: 만기(5년) 유지 시 이자소득 비과세 → 실효수익률 개선
  • 정부지원금: 소득구간별 월 적립(만기 유지 시 효과 극대화)
  • 주의: 중도해지·자격 상실 시 비과세·지원금 축소/환수 가능 — 은행 약관의 ‘혜택 유지 조건’ 확인 필수

 

6. 청년도약계좌 취급 은행

 

 

국민은행

  • 급여이체, 생활요금 자동이체, 카드 이용, 앱 출석/미션(우대)
  • 우대 유지 주기(월/분기), 항목 금액·횟수 조건
  • 급여계좌를 이미 KB 쓰는 경우(우대 달성 난도↓)

하나은행

  • 카드 이용(월 실적), 자동이체 2건 이상, 해외결제 포인트(우대)
  • 카드 실적 최소금액, 자동이체 인정 항목 범위
  • 카드 실적 관리가 익숙하면 금리 스택 유리

신한은행

  • 급여·카드·마이데이터 연동, SOL 알림/미션(우대)
  • 마이데이터 연동 기간, 알림/미션 유지 조건
  • 다중 연동·앱 미션으로 우대폭 확대
 

우리은행

  • 생활요금·통신요금 자동이체, WON 알림/이벤트(우대)
  • 자동이체 인정 항목 리스트, 이벤트 기간
  • 생활요금 자동이체를 이미 설정한 사용자

 

7. 납입 지연 및 중도해지 시 유의사항

  • 지연/미납: 반복 시 우대 축소 가능 — 자동이체일을 월급일+3~5영업일로 지정
  • 중도해지: 비과세·정부지원금 축소/환수 가능 — 특별사유 인정 시 예외 가능
  • 일시납입: 허용 범위·시점은 공고/은행 지침 따름 — 혜택 유지 조건 충돌 여부 확인

 

8. 청년도약계좌 vs 청년적금

항목 청년도약계좌 청년적금(일반)
목적 5년 자산형성(정책형) 단·중기 저축(은행형)
월 납입한도 최대 70만 원 은행별 낮은 편
수익 구조 기본+우대+정부지원금 기본+우대(이벤트 중심)
세금 만기 비과세(조건 충족) 일반 과세(특례는 별도)
중도해지 혜택 축소/환수 가능 일반 중도해지 규정
적합 대상 5년 유지 가능한 청년 유동성 선호 청년

 

9. 마무리

청년도약계좌는 “5년 유지 + 우대금리 + 정부지원금 + 비과세”로 실효 수익률을 끌어올리는 정책형 계좌입니다. 이번 달 신청기간을 확인하고, 월 납입액·자동이체일·우대항목을 오늘 세팅하세요. 중도해지·지연납입 규정을 숙지하면 혜택 손실 없이 만기를 채우는 데 도움이 됩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