5년 만기 자산형성형 상품인 청년도약계좌를 한 번에 이해하고 실행할 수 있게 구성했습니다. 월 납입한도, 자격·소득 기준, 우대금리·정부지원금, 비과세 구조, 취급 은행 카드형 표, 납입 지연·중도해지 유의사항, 청년적금과의 비교까지 총정리했습니다.

1. 핵심요약
- 신청기간: 매월 공지되는 접수 기간(대개 월 초~중순) 앱 비대면 신청 → 약 2주 심사 → 익월 초 개설·자동이체 시작
- 월 납입한도·기간: 최대 70만 원, 5년(60개월). 우대금리 + 소득구간별 정부지원금(월 최대 약 2.4만 원 가정)
- 세금: 만기 유지 시 이자소득 비과세. 미납·중도해지 시 혜택 축소/환수 가능(유지 조건 필독)
2. 청년도약계좌란?
만 19~34세(병역 이행 최대 6년 추가 인정) 청년의 5년 장기 저축을 지원하는 정책형 계좌입니다. 청년도약계좌는 납입액에 우대금리·정부지원금이 더해져 실효수익률을 높이고, 만기 유지 시 비과세로 과세 대비 유리한 결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.
- 신청기간: 매월 지정 기간(은행·정부 공지 확인) — 마감 임박 시 접속 지연이 잦아 오픈 24~48시간 내 접수 권장
- 흐름: 앱 신청 → (약 2주) 자격·소득·가구소득 연계 심사 → 익월 초 자동이체 시작
- 목적: 주거·결혼·교육·창업 등 자산 형성, 금융 습관 구축
3. 월 납입한도 및 저축 기간(우대금리·정부지원금)
- 기간/한도: 5년(60개월), 월 최대 70만 원
- 금리 구조: 기본금리 + 우대금리(급여이체/카드·생활요금·자동이체 등)
- 정부지원금: 개인소득 구간별 차등(월 최대 약 2.4만 원 가정). 만기 유지 시 체감 수익 상승
급여일 + 3~5영업일에 자동이체를 설정하면 미납률이 낮아집니다. 우대항목은 반기마다 점검해 누락을 방지
4. 가입 조건 및 소득 조건
구분 | 기준(요약) | 확인 방법 | 메모 |
---|---|---|---|
나이 | 만 19~34세(병역 최대 +6년) | 신분증/주민등록 | 가입일 기준 |
개인소득 | 총급여 7,500만 원 이하(종소 6,300만 원 이하) | 국세청 연계 | 정부지원금 구간 차등 |
가구소득 | 중위소득 250% 이하 | 행정정보 연계 | 세대 구성 반영 |
거주/국적 | 내국인·국내 거주 | 기본 요건 | 상시 확인 |
중복 제한 | 유사 정책·특례 병행 제한 가능 | 상품설명서·FAQ | 접수 전 확인 |
5. 세금 혜택과 비과세 구조
- 비과세: 만기(5년) 유지 시 이자소득 비과세 → 실효수익률 개선
- 정부지원금: 소득구간별 월 적립(만기 유지 시 효과 극대화)
- 주의: 중도해지·자격 상실 시 비과세·지원금 축소/환수 가능 — 은행 약관의 ‘혜택 유지 조건’ 확인 필수
6. 청년도약계좌 취급 은행
7. 납입 지연 및 중도해지 시 유의사항
- 지연/미납: 반복 시 우대 축소 가능 — 자동이체일을 월급일+3~5영업일로 지정
- 중도해지: 비과세·정부지원금 축소/환수 가능 — 특별사유 인정 시 예외 가능
- 일시납입: 허용 범위·시점은 공고/은행 지침 따름 — 혜택 유지 조건 충돌 여부 확인
8. 청년도약계좌 vs 청년적금
항목 | 청년도약계좌 | 청년적금(일반) |
---|---|---|
목적 | 5년 자산형성(정책형) | 단·중기 저축(은행형) |
월 납입한도 | 최대 70만 원 | 은행별 낮은 편 |
수익 구조 | 기본+우대+정부지원금 | 기본+우대(이벤트 중심) |
세금 | 만기 비과세(조건 충족) | 일반 과세(특례는 별도) |
중도해지 | 혜택 축소/환수 가능 | 일반 중도해지 규정 |
적합 대상 | 5년 유지 가능한 청년 | 유동성 선호 청년 |
9. 마무리
청년도약계좌는 “5년 유지 + 우대금리 + 정부지원금 + 비과세”로 실효 수익률을 끌어올리는 정책형 계좌입니다. 이번 달 신청기간을 확인하고, 월 납입액·자동이체일·우대항목을 오늘 세팅하세요. 중도해지·지연납입 규정을 숙지하면 혜택 손실 없이 만기를 채우는 데 도움이 됩니다.